-
목차
리더십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자신의 리더십 스타일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
지금 당신의 리더십은
함께 걷는 사람에 가까운가요?
아니면
앞에서 중심을 잡는 사람인가요?
서번트형 vs 카리스마형
서번트형 리더는
- 먼저 말하지 않고
- 대신 먼저 들어줍니다
- 감정을 읽고, 흐름을 맞추며
- 관계를 중심으로 팀을 이끕니다
그래서
팀은 편안함과 자율성 속에서 몰입합니다.
카리스마형 리더는
- 먼저 말하지 않아도
- 분위기를 정리합니다
- 감정을 조절하고 기준을 제시하며
- 팀의 리듬을 중심으로 맞춥니다
그래서
팀은 긴장과 집중 속에서 단단해집니다.
리더십은 성향이 아니라 선택입니다
상황에 따라
두 리더십은 서로 다른 힘을 발휘합니다.- 팀이 지치고 위축됐을 때 → 서번트형
- 팀이 흔들리고 방향이 모호할 때 → 카리스마형
훌륭한 리더는
한 가지 태도에 고정되지 않습니다.
상황에 따라 움직일 줄 아는 감각을 갖습니다.
실무에서 이렇게 적용해보세요
- 회의 전, 지금 팀에 필요한 분위기 먼저 점검하기
- 말하기보다 먼저 ‘경청’을 선택할지, ‘정리’를 선택할지 고민하기
- 리더십이 ‘편안함’과 ‘중심’ 중 어디에 가까운지 돌아보기
- 상황별 리더십 스타일 대응표 만들어보기
이건
리더십을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힘’입니다.
자기 점검 질문
지금 나는
경청 중심의 리더인가요, 정리 중심의 리더인가요?팀이 혼란스러울 때
나는 어떤 방식으로 반응하나요?내 리더십은 한 방향에 고정돼 있진 않나요?
다음 이야기 예고
→ [카10]
→ 시리즈 요약 카드북 + 워크시트 통합편 예정
📝 존재 기반 리더십 체크리스트 (1/3)
오늘의 리더십 선택 감각
오늘 내가 선택한 리더의 태도는 어떤 흐름이었나요?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회의나 피드백에서 내가 더 많이 쓴 언어는?
(① 공감 ② 기준 ③ 질문 ④ 정리)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팀은 오늘 나를 ‘어떤 리더’로 기억할까요?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존재 기반 리더십 체크리스트 (2/3)
리더십 유형 감각 점검표
(Yes / No)□ 회의 중 팀의 분위기를 먼저 감지했다
□ 경청과 기준 사이에서 선택을 의식했다
□ 한 가지 리더십에 고정되지 않고 상황에 맞췄다
□ 감정 조율과 정리 전략을 병행했다
□ 팀원에게 ‘단단함’과 ‘이해’ 모두를 전달했다
📝 존재 기반 리더십 체크리스트 (3/3)
오늘의 선택적 리더십 한 줄
→ 오늘 내가 가장 전략적으로 선택한 리더의 태도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내일 의식적으로 연습할 리더 방향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전략 & 리더십 > 카리스마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리스마형 리더십 확장편 - 말 한마디에 조직이 움직이는 리더는 어떻게 팀을 이끄는가? (0) 2025.03.15 카리스마형 리더십 시리즈 ⑩- 말하지 않아도 설득되는 리더 (0) 2025.03.15 카리스마형 리더십 ⑧ - 조직 이미지와 리더 이미지가 일치할 때 (0) 2025.03.15 카리스마형 리더십 ⑦ - 표정, 목소리, 리듬의 설득력: 비언어 전략 (0) 2025.03.15 카리스마형 리더십 ⑥ - 카리스마형 리더의 피드백은 어떻게 다른가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