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경영학/ 자기 계발/ 자산 관리 정보

  • 2025. 3. 25.

    by. 라가네

    목차


      전략은 외부를 먼저 이해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브랜드를 키우든, 신사업을 시작하든,
      우리가 전략을 세울 때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은 이겁니다.

      “지금, 우리 바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지?”

      아무리 훌륭한 내부 역량이 있어도,
      시장을 잘못 읽으면 타이밍을 놓치고,
      경쟁을 오판하면 손해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전략은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보다,
      먼저 **‘바깥 세상은 지금 어떤 구조인가’**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그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세 가지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바로 SWOT / PEST / 5 Forces입니다.


      1. SWOT 분석 – 전략의 기초 체력 진단표

      SWOT은 전략 프레임워크 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도구입니다.
      내부(Strength/Weakness)와 외부(Opportunity/Threat)를 구분해
      ‘지금 우리 상태가 어떤지’ 한눈에 정리할 수 있는 구조죠.

      구분 질문
      S (강점) 우리는 무엇을 잘하고 있는가?
      W (약점) 우리는 어떤 점이 부족한가?
      O (기회) 시장에 어떤 좋은 변화가 오고 있는가?
      T (위협) 우리가 놓치고 있는 리스크는 뭔가?

      사례 – 쿠팡 SWOT 분석

      • S (강점): 로켓배송, 자체 물류망, 빠른 UX
      • W (약점): 고정비 구조, 적자 누적, 수익성 낮음
      • O (기회): 퀵커머스 시장 성장, 글로벌 진출 가능성
      • T (위협): 경쟁 앱 증가, 배달비 논란, 노동이슈

      실무에선 이렇게 활용하세요

      • 새로운 서비스 론칭 전, 빠르게 내부/외부 조건을 요약
      • 회의 자료나 전략 기획서의 ‘기초 진단표’로 활용

      2. PEST 분석 – 외부 환경을 해석하는 필터

      PEST는 외부 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프레임입니다.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기술(Technological)
      이 네 가지 관점으로 **“지금 세상은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파악합니다.


      항목 예시 질문
      P 새로운 규제나 법 개정이 우리에게 영향을 주나?
      E 금리, 환율, 물가 등 경제 흐름은 어떤가?
      S 소비자 트렌드나 라이프스타일에 변화가 있나?
      T 어떤 기술이 시장을 바꾸고 있나?

      사례 – 이케아 PEST 분석

      • P: 유럽의 친환경 규제 강화 → 재생소재 확대
      • E: 글로벌 물가 상승 → 저가 전략 유지에 부담
      • S: 셀프 인테리어, 홈라이프 트렌드 확산
      • T: AR로 집에서 가상 가구 배치 시뮬레이션

      실무 팁

      • 시장 보고서, 브랜드 리포트 작성할 때 외부 흐름을 정리
      • SWOT의 O/T 항목을 확장할 때 함께 쓰면 유용

      3. 포터의 5 Forces – 산업 내 경쟁 구조를 해부하다

      5 Forces는 경영학자 마이클 포터가 만든 전략 분석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이 시장은 얼마나 버티기 어려운가?”**를 알려주는 프레임입니다.


      Forces란?

      Forces는 ‘압력’ 또는 ‘외부에서 우리를 밀어붙이는 힘’을 뜻합니다.
      즉,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맞서야 할 외부 생존 압력 5가지를 말하는 것이죠.


      가장 쉬운 해석

      • “사업을 어렵게 만드는 5가지 힘”
      • “우리 비즈니스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들”

      요약 표 – 5 Forces 구성

      요소 질문 쉽게 풀면
      ① 기존 경쟁 강도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가? 이 시장 안에 경쟁자가 너무 많지 않나?
      ② 신규 진입자 위협 새로 들어오긴 쉬운가? 우리랑 비슷한 앱이 계속 나오고 있지 않나?
      ③ 대체재 위협 다른 방식으로 해결 가능한가? 고객이 우리 안 쓰고 딴 걸로 해결할 수 있나?
      ④ 구매자의 힘 고객이 까다로운가? 가격·품질에 민감하고 쉽게 떠나나?
      ⑤ 공급자의 힘 자원 제공자가 셀프인가? 부품·재료 주는 쪽이 너무 강한 위치에 있진 않나?

      사례 – 애플 Apple 5 Forces 분석

      • ① 기존 경쟁자: 삼성, 구글 등과 기술·생태계 경쟁
      • ② 신규 진입자: 기술·자본·브랜드 진입 장벽 매우 높음
      • ③ 대체재 위협: 안드로이드, 클라우드 디바이스 등
      • ④ 고객 협상력: 충성도 높지만, 기대치도 높음
      • ⑤ 공급자 협상력: TSMC, 폭스콘 등과 긴밀한 파트너십 필요

      실무 활용 예시

      • 시장 진입 가능성 검토
      • 브랜드 리포지셔닝, 경쟁사 분석 시 활용
      • 투자 제안서, 전략보고서의 산업 구조 분석에 유효

      세 가지 분석, 어떻게 연결해서 써야 할까요?

      분석 도구 초점 추천 활용
      SWOT 내부+외부 전체 요약 브랜드 진단, 전략 프레임 설계
      PEST 외부 환경 변화 분석 트렌드 리포트, 정책/시장 변화 대응
      5 Forces 산업 내 경쟁 구조 해부 신규 진입 판단, 경쟁 전략 설계

      실전 적용 흐름 예시

      ① 먼저 PEST로 환경을 읽고
      ② 5 Forces로 이 시장의 구조와 위험을 점검한 뒤
      ③ SWOT으로 우리 브랜드의 현재 위치를 정리하세요

      이 세 가지는 따로 쓰는 것이 아니라,
      전략 초안에 순차적으로 엮어서 사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분석은 생각을 정리하는 구조입니다

      전략은 단순히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게 아닙니다.
      제대로 된 전략은 구조를 타고 나옵니다.

      SWOT은 우리의 위치를,
      PEST는 외부 환경을,
      5 Forces는 산업의 생존 조건을 보여줍니다.

      이 세 가지만 손에 익히면
      브랜드, 사업, 콘텐츠 전략이 더욱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정리될 것입니다.


      다음 편 예고: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핵심 구조
      AIDA / FAB / 4P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