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 리더십
방임형 리더십 시리즈 ⑧ - 팀이 방임형 리더를 원할 때, 조심해야 할 것들
팀이 자율을 원한다고 해서, 리더가 사라져도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자율 요청 속에 감춰진 감정 피드백과 리더의 기준 설계가 왜 중요한지 짚어봅니다. “저희가 한번 자율적으로 해볼게요.”그 말을 들은 리더는 뒷걸음질칩니다.개입을 줄이고, 판단을 유보하죠.그게 신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팀 안에 미묘한 신호들이 퍼지기 시작합니다.누가 방향을 정리하죠?피드백은 어디에서 받죠?결과가 좋지 않으면, 누구 책임이죠?자율을 요청한 팀조차도결국은 리더의 감정 연결을 필요로 합니다. 자율 요청 이후, 팀이 겪는 혼란감정적 방치→ 피드백이 사라지고, 감정 연결이 끊깁니다.기준 불확실성→ 어떤 판단이 옳은지 스스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책임 고립→ 결과가 나빠질 경우, 팀은 홀로 부담을 떠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