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리더십과 브랜드 전략,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 라가스토리입니다.

  • 2025. 3. 27.

    by. 라가노트

    목차

       

      세 리더십 모두 자율을 말하지만, 감정 연결과 실행 흐름은 전혀 다릅니다.

      방임형, 민주형, 서번트형의 차이를 감정적 설계와 책임 구조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세 명의 리더가 똑같이 말합니다.

      “방식은 자유롭게 하세요.”

      그런데 결과는 전혀 다르게 나타납니다.
      A팀은 혼란에 빠졌고,
      B팀은 실행이 늦어졌으며,
      C팀은 몰입하며 스스로 움직였습니다.

      이 차이는
      말의 내용이 아니라
      감정 연결 방식과 실행 설계의 차이에서 시작됩니다.

       

      방임형 리더

      “알아서 하세요.”
      피드백도, 기준도 없습니다.
      팀은 스스로 판단해야 하며, 리더의 반응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기준 없음 → 방향 상실
      • 감정 연결 없음 → 피로와 불안
      • 책임 구조 없음 → 결과 전가

      → 팀은 점점 말이 줄고, 주도성도 잃습니다.


      민주형 리더

      “어떻게 생각하세요?”
      의견을 듣고, 공감해 주며, 함께 논의합니다.
      하지만 정리는 부족하고, 실행은 늦어지기 쉽습니다.

      • 경청 중심 → 감정 존중
      • 기준은 흐름 속에 녹아 있음
      • 결정은 유보되거나 늦어짐

      → 팀은 존중받지만, 리더가 중심에 없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서번트형 리더

      “당신이 잘할 수 있도록, 내가 움직이겠습니다.”
      관찰과 감정 연결, 기준과 지원이 함께 갑니다.
      리더는 말보다 ‘행동의 설계’로 팀을 움직입니다.

      • 기준 명확 → 방향 선명
      • 감정 피드백 → 몰입 유도
      • 실행 구조 설계 → 책임 공유

      → 팀은 “지켜보고 있다”는 안도감 속에서 주도성을 발휘합니다.


      감정 연결 방식 비교

       
      • 방임형 리더
        • 감정 연결: 단절됨
        • 실행 흐름: 흐트러짐
        • 책임 구조: 불분명함
      • 민주형 리더
        • 감정 연결: 공감 중심
        • 실행 흐름: 느림
        • 책임 구조: 모호함
      • 서번트형 리더
        • 감정 연결: 지지 중심
        • 실행 흐름: 선명함
        • 책임 구조: 명확함

      팀이 느끼는 감정은 이렇게 다릅니다

      • 방임형: “우리는 혼자야.”
      • 민주형: “존중은 받아, 그런데 정리가 안 돼.”
      • 서번트형: “혼자가 아니야. 뒤에 리더가 있어.”

      리더 진단 체크리스트 – 나는 어디쯤에 있을까?

      • □ 자율을 강조하지만, 팀은 방향을 잘 모른다
      • □ 감정 피드백은 자주 하지만, 실행 정리는 미흡하다
      • □ 기준 없이 맡기고 결과를 보고 실망한 적이 있다
      • □ “이건 제가 정리하겠습니다”라는 말을 잘 하지 않는다
      • □ 팀이 실수했을 때 정리 피드백 없이 넘긴 적 있다
      • □ 감정적 연결보다는 물러나는 태도를 선택한 적 있다
      • □ 나의 리더십을 떠올릴 때 ‘존재감이 부족했다’는 인식이 있다

       

      → 5개 이상 해당 시:
      방임형에서 민주형 또는 서번트형으로의 리더십 전환이 필요합니다.


      워크시트 – 나의 리더십 흐름 점검

      • 최근 내가 자율을 강조했던 순간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그 상황에서 팀은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 □ 주도성 □ 감정 연결 □ 방향 혼란 □ 무기력
      • 지금 내 리더십에 추가되어야 할 한 문장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실천 루틴 선택지

      • □ 자율을 줄 때 “이 기준만큼은 꼭 지켜주세요”라고 말해보기
      • □ 회의 마무리에 “이건 제가 정리할게요” 한 줄 남기기
      • □ 감정 피드백 후 “다음 흐름은 이렇게 가보죠” 제안해보기

       

      → 내가 오늘 실천할 루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무리 

      리더십은 말의 문제가 아닙니다.
      같은 말이라도
      존재 방식, 감정 연결, 실행 흐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방임형은 침묵으로 팀을 혼자 두고,
      민주형은 경청으로 연결하지만 중심이 흐려지고,
      서번트형은 감정 연결과 실행 설계를 함께 가져갑니다.

      팀은 리더의 말을 따르는 게 아닙니다.
      리더의 존재감과 연결 방식에 따라 움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