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변화는 말이 아니라 감정으로 반영된다
진짜 저항은, 말이 아니라 침묵에서 시작된다
계획은 전달됐습니다.
방향도 설명됐습니다.
회의에서는 “좋습니다”라는 말도 나왔습니다.그런데 이상하게…
팀은 조용해졌습니다.
말은 ‘수용’, 표정은 ‘회피’
분위기는 리더의 레이더입니다
팀이 변화에 반응하지 않는 이유,
그건 메시지가 부족해서가 아닙니다.감정이 따라오지 못해서입니다.
“좋아요”라고 말하면서도,
말투와 표정은 이미 반발하고 있었던 것.
리더는 반응보다 먼저, 감정을 읽어야 한다
리더는 계획을 말하기 전에
팀의 리듬과 에너지를 살펴야 합니다.- 변화 제안 후 말이 줄었다면?
- 팀원들이 미묘하게 표정을 피한다면?
- “그냥 하죠”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면?
그건 ‘수용’이 아니라, 정서적 거리두기입니다.
진짜 저항은 말이 없다
그래서 더 귀 기울여야 한다
실무에서 이런 리더는 이렇게 보입니다
- 변화 제안 후 팀의 분위기 변화를 먼저 체크하는 리더
- “말은 없지만, 감정은 분명하다”고 느끼는 순간을 놓치지 않는 사람
- 결과보다 먼저 분위기의 이완 또는 긴장을 읽는 리더
말은 리더를 따를 수 있어요.
하지만 감정이 없다면, 팀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자기 점검 질문
- 나는 변화 이후 팀의 분위기를 얼마나 살피고 있나요?
- 팀원은 변화 메시지에 감정적으로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요?
- 나는 결과보다 감정 흐름을 먼저 보고 있나요?
기억할 문장
“진짜 반발은 피드백이 아니라, 조용한 침묵으로 시작된다.”
“리더는 계획보다 먼저, 분위기를 설계해야 한다.”
다음 이야기 예고
→ [변10] 시리즈 요약 카드북 + 리더십 자가진단 통합편
[워크시트] 반응을 끌어내는 감정 리더십
① 최근 변화에서의 반응 감지
내가 제안한 변화 중, 가장 ‘말 없는 반발’이 느껴졌던 순간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그때 팀의 표정, 말투, 리듬은 어땠나요?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② 감정 흐름 설계
그 변화 앞에서 내가 팀에게 던졌어야 할 질문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그 질문이 있었다면, 감정의 반응은 달라졌을까요?
→ □ 그렇다 □ 아닐 것 같다
③ 실천 루틴 선택지
□ 변화 제안 전에 팀의 감정 상태부터 자문해보기
□ “이 변화, 누구에게 가장 어려울까?”라고 적어보기
□ 변화 후 팀원 1명과 감정 피드백 나눠보기→ 오늘 내가 선택한 실천 행동: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전략 & 리더십 > 서번트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형 리더십 시리즈 ⑩ - 감정을 중심에 둔 리더, 기준을 놓지 않은 리더 (0) 2025.03.24 권위형 리더십 시리즈 ⑥ - 권위형 리더의 장점과 오해, 정리해드립니다 (0) 2025.03.20 서번트형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리더는 어떻게 섬기면서도 이끌 수 있을까? (0) 2025.03.13 서번트 리더십 시리즈 ⑩ - 요약표 + 실천 워크시트 통합본 (0) 2025.03.13 서번트 리더십 시리즈 ⑧ - 실수를 반복하는 팀원에게 리더가 던져야 할 질문 (0)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