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매번 ‘비전’을 강조하는 리더가 지루해지지 않으려면
비전은 반복이 아니라, 갱신되어야 살아남는다
같은 말을 계속 반복했습니다.
하지만 팀의 눈빛은 점점 흐릿해졌습니다.목표는 분명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연결감은 사라졌어요.비전이 지루해진 게 아니라, 감정이 빠져버린 겁니다.
비전은 말하는 게 아니라, 함께 다시 그려야 살아납니다.
리더는 비전을 말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새롭게 ‘경험’하게 만드는 사람입니다
사람은 같은 말을 반복해서 들으면, ‘이미 안다’고 느낍니다.
그 순간부터 마음은 움직이지 않아요.그래서 비전은 내용이 아니라 방식이 중요합니다.
- 오늘은 다른 언어로
- 내일은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 다음 회의에선, 한 문장의 이야기로
그때그때 ‘비전의 리듬’을 바꾸는 리더,
그 사람이 바로 몰입을 설계하는 리더입니다.
팀은 말이 아니라 ‘느낌’을 기억합니다
“아, 우리가 다시 시작하고 있구나.”
“이 말은 전에 들었지만, 지금은 다르게 와닿네.”이 감각이 비전을 다시 살아 움직이게 만듭니다.
비전은 논리보다 감정의 언어로 기억됩니다.그러니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감정은 늘 새로우니까요.
실무에서 이런 리더는 이렇게 보입니다
- 같은 말을 하더라도, 이야기로 바꿔 전달하는 리더
- 비전을 ‘말로 강요’하지 않고, 팀이 스스로 느끼게 유도하는 리더
- 매주 한 문장씩 팀 비전을 리프레시하는 리더
그는 말보다, 설계로 비전을 갱신합니다.
자기 점검 질문
- 내가 말한 비전은, 팀에게 감정적으로 와닿고 있나요?
- 같은 말을 반복하고 있다면, ‘방식’은 달라지고 있나요?
- 비전이 ‘리더의 언어’로만 남아 있진 않나요?
기억할 문장
“비전은 반복될수록 지루해진다.
하지만 감정으로 갱신될수록 살아난다.”
다음 이야기 예고
→ [변4] 설득이 아닌 ‘몰입’을 끌어내는 리더의 전략
→ [변5] 리더십은 혁신보다 ‘공감 혁신’이 먼저
[워크시트] 변혁형 리더의 실천 체크리스트 (③/3)
① 비전 전달 리듬 점검
- □ 지난 2주간 비전 언급 방식이 동일했다
- □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비전을 전해본 적이 없다
- □ 비전을 숫자 말고 이야기로 전달해본 적이 있다
② 팀 몰입 언어 설계
최근 내가 사용한 비전 언어 중 ‘지루했던 표현’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다음 회의에서 새롭게 시도할 전달 방식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③ 오늘 한 줄 실천
□ 오늘 팀에게 비전 대신 ‘이야기’로 말해보기
□ 팀원이 비전을 직접 말하게 해보기
□ “요즘 이 비전, 어떻게 느껴지세요?” 질문해보기
→ 내가 선택한 실천 항목: _________________________
'전략 & 리더십 > 변혁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⑥ - 변혁형 리더십의 핵심: 영감, 신뢰, 개별 배려 (0) 2025.03.19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⑤ - 리더십은 혁신보다 ‘공감 혁신’이 먼저 (0) 2025.03.18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④ - 설득이 아닌 ‘몰입’을 끌어내는 리더의 전략 (0) 2025.03.18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② -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 팀을 어떻게 이끌까? (0) 2025.03.18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① - 팀이 “같은 꿈”을 꿀 수 있을까? (0)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