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경영학/ 자기 계발/ 자산 관리 정보

  • 2025. 3. 26.

    by. 라가네

    목차


      🔹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한다면,
      결국 누구에게도 인상 깊지 않은 브랜드가 됩니다.

      현대 마케팅은 ‘모든 고객’이 아닌, ‘우리 고객’을 찾아 집중하는 전략으로 진화했습니다.
      그 핵심이 바로 STP 마케팅 전략입니다.

       

      STP 마케팅

       

      🔹 STP 마케팅이란?

      **STP는 Segmentation(시장 세분화) – Targeting(표적 시장 설정) – Positioning(포지셔닝)**의 약자입니다.

      이 세 가지 단계를 통해
      고객을 나누고, 집중할 대상을 정하고, 그들의 기억에 남도록 브랜드 이미지를 설계하는 것이 STP 전략의 목적입니다.


      🔹 왜 STP 전략이 중요한가?

      1. 불필요한 광고 낭비 감소
        → 명확한 타깃 설정은 전달력 있는 메시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2. 경쟁사와의 차별화
        → 누구를 위한 브랜드인지 명확할수록 경쟁력도 뚜렷해집니다.
      3. 고객 만족도 증가
        → 고객은 자신을 이해해주는 브랜드에 더 강하게 반응합니다.

      🔹 STP 마케팅 전략의 3단계

      1. Segmentation – 시장 세분화

      “누가 고객인가?”를 파악하는 단계

      시장 전체를 나이, 성별, 지역, 소득, 라이프스타일 등 기준으로 나누는 작업입니다.

      세분화 기준 예시:

      • 인구통계적: 나이, 성별, 직업
      • 지리적: 도시/농촌, 지역별 기후
      • 심리적: 가치관, 관심사, 성격
      • 행동적: 구매 빈도, 브랜드 충성도

      실전 팁:

      •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페르소나(전형적 고객상)를 2~3개 설정해보세요.

      2. Targeting – 표적 시장 설정

      “그 중 누구를 타깃으로 할 것인가?”

      세분화된 그룹 중 가장 유리한 고객층을 골라 집중하는 단계입니다.

      타깃 설정 기준:

      • 시장의 크기와 성장성
      • 경쟁 강도
      • 접근 용이성
      • 자사 역량과의 적합성

      전략 유형 예시:

      • 집중 전략: 한 시장에 집중 (ex. 프리미엄 유아용품)
      • 차별화 전략: 여러 시장에 맞춤 전략 제공 (ex. SPA 브랜드)
      • 비차별화 전략: 대중적 메시지 전달 (ex. 대형 생수 브랜드)

      3. Positioning – 브랜드 포지셔닝

      “고객의 마음속에 어떻게 기억될 것인가?”

      경쟁 브랜드와 비교해
      자사 제품이 어떤 차별화된 가치를 갖는지 명확히 전달하는 단계입니다.

      포지셔닝 핵심 포인트:

      • 나만의 메시지: “~하면 떠오르는 브랜드”
      • 감정적 연결: 단순 기능이 아닌 느낌, 이미지, 감정 중심
      • 포지셔닝 맵 활용: 경쟁사와의 상대적 위치 시각화

      🔹 STP 전략 사례 분석

      🎯 1. 카카오뱅크 – ‘MZ세대의 금융 앱’

      • Segmentation: 디지털 친화적인 20~30대
      • Targeting: 모바일 뱅킹에 익숙한 사회 초년생
      • Positioning: “은행 같지 않은 은행” → 감성적, 직관적 UX 강조

      🎯 2. 샤넬 – 프리미엄 감성 타깃 포지셔닝

      • Segmentation: 고소득 여성, 예술·패션에 민감한 타깃
      • Targeting: 브랜드의 ‘스토리’와 ‘감성’을 소비하는 고객
      • Positioning: “럭셔리의 상징” → 고급스러움, 희소성, 정체성 강조

      🎯 3. 배달의민족 – 1인가구 중심 전략

      • Segmentation: 혼밥족, 야근 직장인
      • Targeting: 스마트폰 활용도가 높은 도시 거주자
      • Positioning: “재밌고 친근한 배달 앱” → B급 감성 + UX 최적화

      🔹 STP 전략을 위한 실전 팁

      1. ‘누구를 위한 브랜드인가?’ 한 문장으로 정리하기
        • 예: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30대 남성을 위한 남성복 브랜드”
      2. 경쟁사와 나의 포지션을 맵으로 시각화해보기
        • 가격/디자인, 접근성/기능성 등 2축으로 경쟁 위치 분석
      3. 소비자 언어로 메시지 전달하기
        • 기능 설명보다 ‘이 브랜드가 당신에게 왜 필요하냐’를 중심으로

      🔹 정확히 겨누고, 선명하게 남겨라

      모든 고객을 잡으려는 브랜드는
      결국 아무도 기억하지 못합니다.

      STP 마케팅 전략은 선택과 집중의 기술입니다.

      • 시장을 세분화하고
      • 핵심 타깃을 정한 뒤
      • 그들의 마음에 정확히 꽂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이 3단계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매출과 브랜드 충성도를 결정하는 핵심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