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리더십과 브랜드 전략,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 라가스토리입니다.

  • 2025. 4. 16.

    by. 라가노트

    목차


      모두를 만족시키려는 브랜드는, 결국 누구에게도 기억되지 않습니다


      1. 마케팅은 ‘선택’과 ‘집중’에서 시작됩니다

      누구나 다 좋아할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고객을 만족시키려는 전략은 오히려 누구에게도 인상적이지 않은 결과를 남깁니다.

      그래서 마케팅은 하나의 질문에서 출발하죠.
      “우리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바로 이 질문에 답하는 방식이 STP 전략입니다.

      STP 마케팅

      2. STP란 무엇인가요?

      STP는 다음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됩니다.

      • Segmentation (세분화)
      • Targeting (타깃 설정)
      • Positioning (포지셔닝)

      시장을 나누고,
      그중 핵심 고객을 골라내고,
      그들의 기억에 남도록 브랜드를 설계하는 흐름입니다.


      3. 왜 STP 전략이 중요한가요?

      • 광고 낭비를 줄입니다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할 필요가 없으니, 메시지는 더 명확해지고 전달력은 높아집니다.
      • 경쟁에서의 차별성이 생깁니다
        우리 브랜드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분명할수록 경쟁사와의 경계가 또렷해집니다.
      • 고객 만족도는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고객은 자신을 알아주는 브랜드에 더 강하게 반응하니까요.

      4. STP 전략, 어떻게 설계할 수 있을까요?

      1) Segmentation – 시장을 나눕니다

      우선, 전체 시장을 나누어야 합니다.
      인구통계, 지역, 라이프스타일, 구매 행동 등 다양한 기준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나이, 성별, 직업 (인구통계적 기준)
      • 지역, 도시 vs 농촌 (지리적 기준)
      • 관심사, 태도, 가치관 (심리적 기준)
      • 구매 빈도, 충성도 (행동 기준)

      현실적으로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2~3개의 페르소나를 먼저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 Targeting – 그 중 핵심 고객을 고릅니다

      이제 나눈 시장 중에서,
      우리 브랜드와 가장 잘 맞는 집단을 선택합니다.

      • 시장의 규모는 충분한가?
      • 경쟁자는 얼마나 강한가?
      • 우리 브랜드가 이 시장에 적합한가?

      전략 유형은 이렇게 나뉘죠.

      • 하나의 시장에만 집중하는 집중 전략
      • 여러 시장을 동시에 공략하는 차별화 전략
      •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비차별화 전략

      3) Positioning – 고객의 기억에 남게 만듭니다

      포지셔닝은 단순한 위치가 아니라,
      고객 마음속에 어떤 인상을 남길지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 우리는 무엇을 대표할 수 있는가?
      • 어떤 느낌, 어떤 가치를 주고 싶은가?

      기능적인 설명보다, 감정적인 연결이 더 중요해지는 이유입니다.


      5. 브랜드는 이렇게 포지셔닝합니다

      카카오뱅크
      → 디지털 친화적인 MZ세대를 타깃으로, “은행 같지 않은 은행”이라는 감성 UX를 강조했습니다.

      샤넬
      → 예술적 감성을 소비하는 고소득층 여성 고객을 중심으로 “럭셔리의 상징”이라는 포지셔닝을 유지해왔습니다.

      배달의민족
      → 혼자 식사하는 1인 가구와 직장인을 위해, ‘재밌고 친근한 배달 앱’이라는 유쾌한 UX를 선택했습니다.


      6. 실전에서 STP를 적용하려면

      • 한 문장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30대 실용주의 남성을 위한 기능성 캐주얼 브랜드”처럼요.
      • 포지셔닝 맵을 활용해보세요
        가격–감성, 기능성–접근성 등 두 축을 기준으로
        우리 브랜드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정리해보세요.
      • 고객의 언어로 이야기해야 합니다
        브랜드가 줄 수 있는 '이유',
        그리고 고객이 반응할 수 있는 ‘느낌’을 중심에 둬야 합니다.

      7. 기억에 남는 브랜드는,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STP 마케팅 전략은 단순한 분류 작업이 아닙니다.
      고객을 이해하고,
      그들과의 연결을 더 깊고 선명하게 만드는 전략입니다.

      모두를 만족시키는 브랜드가 아니라,
      딱 맞는 사람에게 오래 기억되는 브랜드.
      이것이 STP 전략의 진짜 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