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변혁형 vs 서번트형 리더십
리더십은 성격이 아니라, 팀 상태에 맞는 전략입니다
리더마다 스타일이 다르죠.
누군가는 앞에서 길을 이끌고,
누군가는 옆에서 함께 걸어줍니다.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나는 어떤 리더인가?”보다
**“지금 우리 팀엔 어떤 리더가 필요한가?”**입니다.
리더십은 흐름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변혁형 리더십이 필요한 순간
- 팀이 방향을 잃었을 때
- 성과 중심 전략이 필요한 시기
- 분위기를 리셋하고 몰입을 끌어올려야 할 때
→ “지금은 앞으로 끌고 가야 해.”
서번트형 리더십이 필요한 순간
- 팀의 감정이 불안하거나 지쳐 있을 때
- 신뢰 회복과 심리적 안정이 필요한 국면
- 자율성과 연결감을 회복해야 할 때
→ “지금은 곁에서 함께 걸어줘야 해.”
두 리더십의 차이는 ‘에너지 흐름’에 있습니다
- 변혁형 리더는 비전 → 몰입
- 서번트형 리더는 감정 → 연결
둘 다 감정을 다루지만,
다루는 방식과 방향이 다릅니다.
리더십은 고정된 태도가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전략입니다
실무에서 이런 리더는 이렇게 보입니다
- 프로젝트 초기엔 비전을 말하고,
팀이 지치면 곁에서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 - 목표는 분명히 하지만,
구성원의 감정을 무시하지 않는 사람 - 리더십을 하나로 고정하지 않고,
팀의 흐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사람
자기 점검 질문
- 나는 팀 상태를 보고 리더십 톤을 바꾼 적이 있나요?
- 최근 회의에서 더 많이 사용한 언어는 무엇이었나요?
→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은 ___이다.” (변혁형)
→ “지금 어떤 생각 드세요?” (서번트형) - 오늘 나의 리더십은 어느 쪽에 가까웠나요?
기억할 문장
“리더십은 옳고 그름이 아니라, 지금 필요한 감각이다.”
“리더는 성격이 아니라, 전략으로 움직여야 한다.”
다음 이야기 예고
→ [변8] 팀이 낡은 루틴을 벗어나도록 만드는 질문법
→ [변9] 당신의 팀은 변화에 반응하는가, 반발하는가?
[워크시트] 변혁형 vs 서번트형 리더십 선택 체크리스트 (⑦/3)
① 팀 상황 진단
□ 팀이 방향보다는 감정 회복이 더 필요해 보인다
□ 최근 구성원들의 몰입도가 낮고, 연결감이 부족하다
□ 감정 리더십을 회복해야 할 타이밍이다
② 나의 리더 스타일 인식
□ 나는 ‘듣기’보다 ‘설명’이 먼저다
□ 나는 ‘공감’보다 ‘방향 제시’에 집중해왔다
□ 최근 내 언어는 기준 중심이었다
③ 오늘 나의 선택 복기
오늘 내가 사용한 리더십 언어는?
→ □ “이 방향으로 갑시다” (변혁형)
→ □ “지금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서번트형)다음 회의에서 내가 선택하고 싶은 리더의 언어는?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전략 & 리더십 > 변혁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⑩ - 몰입을 만든 리더, 기억에 남은 리더 (0) 2025.03.19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⑧ - 팀이 낡은 루틴을 벗어나도록 만드는 질문법 (1) 2025.03.19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⑥ - 변혁형 리더십의 핵심: 영감, 신뢰, 개별 배려 (0) 2025.03.19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⑤ - 리더십은 혁신보다 ‘공감 혁신’이 먼저 (0) 2025.03.18 변혁적 리더십 시리즈 ④ - 설득이 아닌 ‘몰입’을 끌어내는 리더의 전략 (0)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