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리더십과 브랜드 전략,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 라가스토리입니다.

  • 2025. 3. 20.

    by. 라가노트

    목차

       

      두려움은 복종을 만들고, 존중은 자발성을 만듭니다.

      • 기준은 있었지만, 팀의 감정은 닫혀 있었습니다
      • 실수는 줄었지만, 제안도 줄어들었습니다
      • 리더십의 변화는 말투보다 관계 설계에서 시작됩니다

      처음엔 단호함이 통했습니다.단정한 말투, 강한 기준, 빠른 피드백.
      팀은 조용했고, 조직은 움직였습니다.

      성과는 나왔죠.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리더가 말하지 않으면 팀도 멈췄습니다.

      지시는 따랐지만, 제안은 없었습니다.
      질문은 줄었고, 감정은 닫혔습니다.
      리더는 리더였지만,
      **조직은 ‘움직이지 않는 팀’**이 되어 있었습니다.


      두려움은 멈추게 하고, 존중은 자발성을 만듭니다

      권위형 리더십은 흐름을 정리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빠르고 명확하게 결정하니까요.
      하지만 그만큼, 감정을 지울 수도 있습니다.

      두려움이 자리 잡으면, 행동은 남고 의미는 사라집니다.
      “혼날까 봐 더 하지 않는다.”
      “질문하면 괜히 꼬일까 봐 피한다.”

      반대로, 존중은 움직임을 남깁니다.
      “말하지 않아도 해보고 싶다.”
      “리더가 지켜봐 주고 있구나.”

      이 차이는 리더가 설계한 관계의 리듬에서 생깁니다.


      리더는 감정을 바꾸는 존재입니다

      리더가 먼저 감정적 거리를 좁히면
      팀은 언어를 바꿉니다.

      “죄송합니다” 대신,
      “이건 제가 더 해볼게요”가 나옵니다.

      바뀌는 건 기술이 아닙니다.
      관계에서 나오는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그 분위기는
      리더의 말투, 표정, 피드백 방식에서 시작됩니다.


      권위형 리더가 존중형으로 이동하는 3가지 방식

      ① 지시 뒤에 질문을 남깁니다.
      “이건 이렇게 해주세요.” 다음에
      “혹시 다른 의견도 있을까요?”를 덧붙입니다.

      ② 실수에 기준보다 감정을 먼저 꺼냅니다.
      “이건 왜 이렇게 했죠?” 대신
      “어려움은 없었나요?”부터 묻습니다.

      ③ 목소리를 높이지 않고,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단호함은 기준이 아니라
      감정의 예측 가능성에서 생깁니다.


      리더 진단 체크리스트 – 존중 중심 전환 점검

      □ 팀원들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공유할 수 있다
      □ 내가 말하지 않아도 팀이 방향을 기억하고 있다
      □ 회의 중 ‘지시’보다 ‘제안’이 더 많다
      □ 피드백에 감정적 안전감이 포함되어 있다
      □ “같이 간다”는 감정이 피드백 속에 묻어난다
      □ 팀원들이 내 말보다 태도를 더 먼저 언급한다
      □ 리더십은 기준보다 감정의 리듬이라고 느낀다

      → 6개 이상 체크 시: 존중 중심 리더십 전환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워크시트 – 두려움에서 존중으로, 내 리더십 변화 점검

      1. 최근 내가 목소리를 높인 상황은 언제였고, 그 결과는 어땠는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그 상황에서 감정을 설계했더라면, 어떤 대화가 가능했을까?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다음 회의에서 감정을 담은 피드백 문장은?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실천 루틴 선택지

      □ 다음 기준 전달 뒤 “다른 생각은 없으세요?” 한 줄 더해보기
      □ 실수 피드백 전에 “지금 상황은 괜찮으세요?” 물어보기
      □ 지시 어조에서 “함께”라는 단어를 포함해보기

      → 내가 선택한 실천 항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마무리 

      리더는 말투로 분위기를 만들고
      피드백으로 감정을 설계합니다.

      두려움은 복종을 만들고,
      존중은 자발성을 이끌어냅니다.

      권위형 리더십이 유지될 수 있는 건,
      강한 말이 아니라, 감정을 설계하는 리더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