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스토리

리더십과 브랜드 전략,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 라가스토리입니다.

  • 2025. 4. 2.

    by. 라가노트

    목차

       

      외부 전략 분석의 기본 세 가지


      전략은 외부를 먼저 이해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브랜드를 키우든, 신사업을 시작하든
      전략을 세우는 첫 질문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지금, 우리 바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지?”

      아무리 훌륭한 내부 역량이 있더라도
      시장을 잘못 읽으면 타이밍을 놓치고,
      경쟁을 오판하면 기회를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진짜 전략은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보다
      먼저 **‘외부 구조를 제대로 읽는가’**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그 구조를 분석하는 대표 도구,
      바로 SWOT, PEST, 그리고 5 Forces입니다.

      SWOT / PEST / 5 Forces란?

      1. SWOT 분석 – 전략의 기초 체력 진단표

      SWOT은 가장 널리 쓰이는 전략 도구입니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4가지 항목으로
      내부와 외부를 한눈에 정리할 수 있죠.

      각 항목을 질문으로 바꾸면 이렇게 됩니다.

      • 우리는 무엇을 잘하고 있는가? (강점)
      • 우리는 어떤 점이 부족한가? (약점)
      • 시장에 어떤 좋은 변화가 오고 있는가? (기회)
      • 우리가 놓치고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 (위협)

      예시: 쿠팡의 SWOT 요약

      • 강점: 로켓배송, 자체 물류망, 사용자 경험 설계
      • 약점: 지속되는 적자, 낮은 마진율, 고정비 구조
      • 기회: 퀵커머스 확장,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위협: 경쟁사 속도 추격, 배달비 논란, 노동 이슈 확대

      실무 활용법

      • 신규 사업 아이디어 초안 정리 시
      • 전략 보고서의 시작 페이지
      • 브랜드 진단표로 팀 인식 공유 시

      2. PEST 분석 – 외부 환경을 해석하는 필터

      PEST는 시장 외부 환경을 4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기술(Technological)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죠.

      각 영역을 질문으로 풀면 이렇습니다.

      • 정치: 정책 변화, 규제 강화가 우리 산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 경제: 금리, 환율, 물가 등의 경제 흐름은 어떤가?
      • 사회: 소비자 트렌드나 라이프스타일에 변화가 있는가?
      • 기술: 어떤 기술이 시장 구조를 바꾸고 있는가?

      예시: 이케아의 PEST 요약

      • 정치: 유럽발 친환경 규제 강화 → 재생소재 전략
      • 경제: 글로벌 물가 상승 → 가격 정책 부담
      • 사회: 홈 인테리어·셀프 리모델링 트렌드 확산
      • 기술: AR을 활용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기능 도입

      실무 활용법

      • 트렌드 리포트나 시장 조사 자료 정리 시
      • SWOT의 기회/위협 항목을 더 구체화할 때
      • 캠페인 방향성과 외부 환경 조율 시

      3. 포터의 5 Forces – 산업 경쟁 구조 해부 도구

      5 Forces는 마이클 포터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로
      하나의 질문을 중심으로 시작됩니다.

      “이 산업은 얼마나 경쟁이 치열한가?”

      기업이 직면한 5가지 외부 압력을 분석함으로써
      시장 진입 가능성과 생존 전략을 검토하는 데 쓰입니다.

      각 요소는 이렇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 기존 경쟁 강도: 현재 시장 경쟁은 얼마나 치열한가?
      • 신규 진입자의 위협: 유사한 기업이 쉽게 들어올 수 있는가?
      • 대체재의 위협: 고객이 다른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 구매자의 협상력: 고객이 얼마나 까다롭고 유리한가?
      • 공급자의 협상력: 자원 제공자가 우위에 있는가?

      예시: 애플의 5 Forces 요약

      • 기존 경쟁자: 삼성, 구글과 기술 경쟁 지속
      • 신규 진입자: 기술·브랜드 장벽으로 진입 난이도 높음
      • 대체재 위협: 클라우드 서비스, 안드로이드 생태계
      • 구매자 협상력: 충성도는 높지만 기대치도 높음
      • 공급자 협상력: 핵심 부품사와의 전략적 관계 필수

      실무 활용법

      • 시장 진입 전 산업 구조 분석
      • 경쟁사와의 위치를 비교 분석할 때
      • 투자 제안서, 사업 전략 보고서 작성 시

      이 세 가지 분석은 이렇게 연결해서 써야 합니다

      각 프레임워크는 목적이 다릅니다.
      하지만 하나의 전략 흐름 속에서는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활용 흐름 예시

      • 먼저, PEST로 시장 전체 환경을 파악합니다.
      • 그다음, 5 Forces로 우리 산업의 구조적 경쟁 요인을 점검합니다.
      • 마지막으로, SWOT으로 우리 브랜드나 사업의 위치를 정리합니다.

      전략은 생각을 구조화하는 언어입니다

      전략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막연한 느낌이 언어로 구조화되지 않아서입니다.

      하지만 이 3가지 프레임워크만 익숙해지면
      전략 보고서든, 브랜드 기획서든
      이야기의 흐름이 분명하게 정리됩니다.

      • SWOT은 우리 내부와 외부의 균형을 보여주고
      • PEST는 외부 환경의 변화 신호를 알려주며
      • 5 Forces는 우리가 진입하거나 살아남을 시장의 구조를 드러냅니다.

      다음 편 예고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구조
      AIDA / FAB / 4P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