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외부 전략 분석의 기본 세 가지
전략은 외부를 먼저 이해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브랜드를 키우든, 신사업을 시작하든
전략을 세우는 첫 질문은 이렇게 시작합니다.“지금, 우리 바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지?”
아무리 훌륭한 내부 역량이 있더라도
시장을 잘못 읽으면 타이밍을 놓치고,
경쟁을 오판하면 기회를 잃을 수밖에 없습니다.그래서 진짜 전략은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보다
먼저 **‘외부 구조를 제대로 읽는가’**에서 시작해야 합니다.그 구조를 분석하는 대표 도구,
바로 SWOT, PEST, 그리고 5 Forces입니다.1. SWOT 분석 – 전략의 기초 체력 진단표
SWOT은 가장 널리 쓰이는 전략 도구입니다.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4가지 항목으로
내부와 외부를 한눈에 정리할 수 있죠.각 항목을 질문으로 바꾸면 이렇게 됩니다.
- 우리는 무엇을 잘하고 있는가? (강점)
- 우리는 어떤 점이 부족한가? (약점)
- 시장에 어떤 좋은 변화가 오고 있는가? (기회)
- 우리가 놓치고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 (위협)
예시: 쿠팡의 SWOT 요약
- 강점: 로켓배송, 자체 물류망, 사용자 경험 설계
- 약점: 지속되는 적자, 낮은 마진율, 고정비 구조
- 기회: 퀵커머스 확장,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위협: 경쟁사 속도 추격, 배달비 논란, 노동 이슈 확대
실무 활용법
- 신규 사업 아이디어 초안 정리 시
- 전략 보고서의 시작 페이지
- 브랜드 진단표로 팀 인식 공유 시
2. PEST 분석 – 외부 환경을 해석하는 필터
PEST는 시장 외부 환경을 4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기술(Technological)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죠.각 영역을 질문으로 풀면 이렇습니다.
- 정치: 정책 변화, 규제 강화가 우리 산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 경제: 금리, 환율, 물가 등의 경제 흐름은 어떤가?
- 사회: 소비자 트렌드나 라이프스타일에 변화가 있는가?
- 기술: 어떤 기술이 시장 구조를 바꾸고 있는가?
예시: 이케아의 PEST 요약
- 정치: 유럽발 친환경 규제 강화 → 재생소재 전략
- 경제: 글로벌 물가 상승 → 가격 정책 부담
- 사회: 홈 인테리어·셀프 리모델링 트렌드 확산
- 기술: AR을 활용한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기능 도입
실무 활용법
- 트렌드 리포트나 시장 조사 자료 정리 시
- SWOT의 기회/위협 항목을 더 구체화할 때
- 캠페인 방향성과 외부 환경 조율 시
3. 포터의 5 Forces – 산업 경쟁 구조 해부 도구
5 Forces는 마이클 포터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로
하나의 질문을 중심으로 시작됩니다.“이 산업은 얼마나 경쟁이 치열한가?”
기업이 직면한 5가지 외부 압력을 분석함으로써
시장 진입 가능성과 생존 전략을 검토하는 데 쓰입니다.각 요소는 이렇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 기존 경쟁 강도: 현재 시장 경쟁은 얼마나 치열한가?
- 신규 진입자의 위협: 유사한 기업이 쉽게 들어올 수 있는가?
- 대체재의 위협: 고객이 다른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가?
- 구매자의 협상력: 고객이 얼마나 까다롭고 유리한가?
- 공급자의 협상력: 자원 제공자가 우위에 있는가?
예시: 애플의 5 Forces 요약
- 기존 경쟁자: 삼성, 구글과 기술 경쟁 지속
- 신규 진입자: 기술·브랜드 장벽으로 진입 난이도 높음
- 대체재 위협: 클라우드 서비스, 안드로이드 생태계
- 구매자 협상력: 충성도는 높지만 기대치도 높음
- 공급자 협상력: 핵심 부품사와의 전략적 관계 필수
실무 활용법
- 시장 진입 전 산업 구조 분석
- 경쟁사와의 위치를 비교 분석할 때
- 투자 제안서, 사업 전략 보고서 작성 시
이 세 가지 분석은 이렇게 연결해서 써야 합니다
각 프레임워크는 목적이 다릅니다.
하지만 하나의 전략 흐름 속에서는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합니다.활용 흐름 예시
- 먼저, PEST로 시장 전체 환경을 파악합니다.
- 그다음, 5 Forces로 우리 산업의 구조적 경쟁 요인을 점검합니다.
- 마지막으로, SWOT으로 우리 브랜드나 사업의 위치를 정리합니다.
전략은 생각을 구조화하는 언어입니다
전략이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막연한 느낌이 언어로 구조화되지 않아서입니다.하지만 이 3가지 프레임워크만 익숙해지면
전략 보고서든, 브랜드 기획서든
이야기의 흐름이 분명하게 정리됩니다.- SWOT은 우리 내부와 외부의 균형을 보여주고
- PEST는 외부 환경의 변화 신호를 알려주며
- 5 Forces는 우리가 진입하거나 살아남을 시장의 구조를 드러냅니다.
다음 편 예고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구조
AIDA / FAB / 4P로 이어집니다.'전략 &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 프레임워크 기초 이해 ④ - OKR, KPI, PDCA란? (2) 2025.04.03 전략 프레임워크 기초 이해 ③ - AIDA, FAB, 4P란? (0) 2025.04.03 전략 프레임워크 기초 이해 ① - FAST / 3C / STP란 무엇인가요? (0) 2025.04.02 감성적 vs 상황적 리더십 - 마음을 움직이는 리더 vs 변화를 설계하는 리더 (0) 2025.03.29 방임형 리더십 시리즈 ⑩ - 말이 없어도 연결되는 리더, 팀이 흔들리지 않는 구조 (0) 2025.03.28